-
[vue]템플릿문법 (v-bind, class)react+vue 2022. 11. 9. 10:35
v-bind
url을 변수로 바인딩 시켜주는 속성
naver export default { name: 'App', data: ()=>{ return { animal:"Monkey", alertMessage:"<button>경고</button>", imageSource:"<<a href=https://placeimg.com/100/100/any>https://placeimg.com/100/100/any</a>>", naverUlr:"<<a href=https://naver.com>https://naver.com</a>>" }; } }
v-bind:을 쓰고 원래 태그의 속성인 src에 변수를 바인딩 시켜준다.
- v-bind를 생략하고 :콜론만 작성해도 무방하다
a태그의 href 속성에 변수를 대입하면 동적으로 href를 바인딩할 수 있다.
위의 예제에서는 naver주소를 바인딩 시켰다.
동적으로 class 부여하기
<style> .orange{ color:orange; } .salmon{ color:salmon; } .red{ color:red; } .not-good{ text-decoration: line-through; } </style> <template> <h1 v-bind:class="{orange:true,salmon:false,red:false,'not-good':true}">내가 제일 좋아하는 {{animal}}</h1> </template> <script> export default { name: 'App', data: ()=>{ return { animal:"Monkey", }; } } </script>
v-bind를 사용해 클래스를 동적으로 걸 수 있다.
객체로 클래스이름과 true/false여부를 지정해 주면 된다.
true/false뿐 아니라 조건문을 지정해 주어도 된다.
'react+v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ue]v-show와 v-if의 차이 (0) 2022.11.09 [vue] 조건부 렌더링(v-if) (0) 2022.11.09 [vue]템플릿 문법 (mustache, v-text, v-model, v-html) (0) 2022.11.09 [vue]뷰 개발환경 준비 (0) 2022.11.09 [react]Use PascalCase for React components, or lowercase for HTML elements. (0) 2022.10.27